오픈 소스 객체-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 ORDBMS ) 인 PostgreSQL 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아래 주소로 접속하면,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 자신이 원하는 버전의 PostgreSQL 과 컴퓨터 환경에 맞추어 인스톨러를 다운로드 받습니다. 저는 안정화된 버전이 11 이라고 알고 있어 11.15 버전, 윈도우 64bit 를 받았습니다. 다운한 exe 파일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https://www.enterprisedb.com/downloads/postgres-postgresql-downloads
Download PostgreSQL
PostgreSQL Database Download
www.enterprisedb.com
Next 를 누르고, 파일 설치할 경로를 설정합니다. 저는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경로를 사용했습니다.
필요한 컴포넌트들을 체크해 다운로드합니다. pgAdmin 은 윈도우에서 PostgreSQL 개발을 위해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할 때 사용됩니다. Stack builder 는 추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툴인데, 필요하다면 체크해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.
이제 데이터를 어느 경로에 저장할지 결정합니다. 저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경로를 사용했습니다.
슈퍼유저의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. 슈퍼유저는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계정입니다. 일반유저는 접근할 수 있는 파일에도 접근 가능한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.
사용할 포트넘버를 설정해줍니다. 기본 값은 5432 입니다.
마지막으로 Locale 을 설정합니다. 설정한 Locale 지역에 따라 문자, 정렬, 시간 방식 등이 해당 지역에 맞게 지원됩니다.
이제 계속 Next 를 누르면 설치가 진행되고, 설치가 완료되면 오른쪽의 화면이 나타납니다. 저는 위에서 Stack Builder 를 Component 설치 시에 포함시켰습니다. 만약 Stack Builder 를 활용해 추가적인 기능들을 설치하시려면 아래 체크박스를 체크한채로 실행시키면 됩니다.
체크박스를 체크한채로 Stack Builder 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. 항목이 굉장히 많은데, 필요한 것만 체크해서 설치합니다. ( 지금 꼭 설치하지 않아도 나중에 추가로 설치 가능합니다. )
PostgreSQL 이 설치된 경로를 잘 찾을 수 있도록 환경변수를 편집하겠습니다. 돋보기로 환경 변수를 검색하면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 창을 띄울 수 있습니다. 환경변수 버튼을 클릭합니다.
환경변수에서 새로 만들기를 눌러 PostgreSQL 이 설치된 파일의 경로를 입력해줍니다.
PostgreSQL 이 설치된 경로에서, bin 폴더가 있는 경로까지 넣어주셔야 합니다. 경로 맨 마지막에는 세미콜론 ; 표시도 함께 넣어주세요. 제 경로는 기본 설치 경로를 입니다. ( 변수 이름이 Path 이므로 이 방법이 아닌 시스템 변수의 Path 를 찾아 아래의 경로를 그대로 추가해주어도 똑같이 작동할 것입니다. ) 확인을 눌러 변경 사항을 모두 저장합니다.
이제 Postgre SQL 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겠습니다. 명령 프롬프트 ( cmd ) 창을 띄워 다음 명령어을 입력합니다.
psql --version
입력 후 (PostgreSQL) 설치 버전 이 출력된다면 경로가 알맞게 설정된 것입니다.
이제 다음 명령어를 통해 cmd 에서도 PostgreSQL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psql -U postgres
Postgre SQL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. 위에서 함께 설치했던 SQL shell, pgAdmin4 혹은 바로 위의 cmd 접속 방법을 통해 접속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.
'개발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ostgreSQL] select, update, drop, alter, delete (0) | 2022.04.04 |
---|---|
[PostgreSQL] 데이터베이스/테이블 생성, 삭제 및 데이터 삽입 (0) | 2022.04.03 |
[PostgreSQL] 쉘 커맨드 정리 (0) | 2022.03.13 |
[PostgreSQL] 도메인이란 ? (0) | 2022.03.13 |
[PostgreSQL] 모두를 위한 PostgreSQL 2장 예제 풀이 (0) | 2022.03.13 |